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5 분 안에 완성하는 PER PBR ROE 계산법 알기

by 플렉스피디아 2025. 4. 15.
반응형

 

주식 투자에서 PER, PBR, ROE는 기업을 분석하는 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개념만 이해하는 것을 넘어, 이 지표들이 실제로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정확히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PER, PBR, ROE 각각의 공식과 계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숫자를 통해 기업을 제대로 읽어내는 힘을 키우고 싶은 분들은 끝까지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PER PBR ROE 공식정리

 

PER 계산법

PER(주가수익비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주가가 50,000원이고, 해당 기업의 주당순이익이 5,000원이라면 PER은 10이 됩니다. 이는 현재 주가가 연간 이익의 10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PER이 낮을수록 수익 대비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산업별 평균 PER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BR 계산법

PBR(주가순자산비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예를 들어, 주가가 50,000원이고, 주당순자산가치가 25,000원이라면 PBR은 2가 됩니다. 이는 기업의 순자산 가치 대비 2배 가격에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PBR이 1 이하이면 자산 가치 대비 저평가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지만, 역시 산업 특성과 기업 성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ROE 계산법

ROE(자기자본이익률)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예를 들어, 연간 순이익이 1,000억 원이고, 자기자본이 5,000억 원인 경우 ROE는 20%가 됩니다. 이는 투자자의 돈을 1년 동안 20% 수익률로 운용했다는 뜻입니다.

ROE가 높을수록 경영진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의미지만, 높은 부채 비율이 ROE를 왜곡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요약 정리

지표 공식 의미
PER 주가 ÷ 주당순이익(EPS) 수익 대비 주가 평가
PBR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자산 대비 주가 평가
ROE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자본 운용 수익성 평가
대표 키워드: PER 계산법 PBR 계산법 ROE 계산법 주식 가치 평가 공식 재무 분석 방법

 

참고 페이지
토스뱅크 공식 블로그: PER, PBR, ROE의 개념과 계산법을 쉽게 설명한 글 (링크 클릭) 입니다.

 

https://flex-pedia.tistory.com/entry/PER-PBR-ROE-%EB%9C%BB%EA%B3%BC-%ED%95%B4%EC%84%9D-%EB%B0%A9%EB%B2%9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