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에서 PER, PBR, ROE는 기업을 분석하는 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개념만 이해하는 것을 넘어, 이 지표들이 실제로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정확히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PER, PBR, ROE 각각의 공식과 계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숫자를 통해 기업을 제대로 읽어내는 힘을 키우고 싶은 분들은 끝까지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PER 계산법
PER(주가수익비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주가가 50,000원이고, 해당 기업의 주당순이익이 5,000원이라면 PER은 10이 됩니다. 이는 현재 주가가 연간 이익의 10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PER이 낮을수록 수익 대비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산업별 평균 PER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BR 계산법
PBR(주가순자산비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예를 들어, 주가가 50,000원이고, 주당순자산가치가 25,000원이라면 PBR은 2가 됩니다. 이는 기업의 순자산 가치 대비 2배 가격에 주식이 거래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PBR이 1 이하이면 자산 가치 대비 저평가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지만, 역시 산업 특성과 기업 성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ROE 계산법
ROE(자기자본이익률)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예를 들어, 연간 순이익이 1,000억 원이고, 자기자본이 5,000억 원인 경우 ROE는 20%가 됩니다. 이는 투자자의 돈을 1년 동안 20% 수익률로 운용했다는 뜻입니다.
ROE가 높을수록 경영진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의미지만, 높은 부채 비율이 ROE를 왜곡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요약 정리
지표 | 공식 | 의미 |
---|---|---|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수익 대비 주가 평가 |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 자산 대비 주가 평가 |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자본 운용 수익성 평가 |
참고 페이지
토스뱅크 공식 블로그: PER, PBR, ROE의 개념과 계산법을 쉽게 설명한 글 (링크 클릭) 입니다.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분 완성 PER PBR ROE 종목 비교 실전 분석법 (0) | 2025.04.15 |
---|---|
PER PBR ROE 수치 해석 실전 사례 (4) | 2025.04.15 |
주식 분할이란? (테슬라, 엔비디아 사례) (0) | 2025.04.15 |
공모주 청약이란? (2025년 정보 포함) (2) | 2025.04.14 |
PER PBR ROE 뜻과 해석 방법 (2) | 2025.04.14 |